sprint 개념을 사용하지 않은 JIRA의 Kanban보드를 사용하는 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curm의 sprint 단위로 sprint planning하여 관리하는 JIRA의 scrum보드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1. Scrum Board와 Kanban Board
- Scrum 보드
– Timebox(Sprint)단위로 일감관리를 하는 프로젝트
– 예) 2주 단위로 sprint planning을 수립후 수행하는 프로젝트
– JIRA Scrum 보드에는 전체 일감이 아닌, Sprint내에 할당된 일감만 보임
- Kanban 보드
– Timebox없이 일감관리를 하는 프로젝트
– 예) 요청(Ticket)이 발생되면 최단시간(Lead time)에 처리해야하는 프로젝트
– JIRA Kanban보드에는 등록된 전체 일감이 보임
2. Scrum board 관리
2.1. Scrum board 만들기
- 보드 이름 입력
– 칸반보드와 스크럼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 저는 보드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스크럼 보드 등의 이름을 넣습니다.
2.2. Scrum보드 환경설정
2.3. Scrum보드 확인
- 백로그 확인
– 아래와 같이 Backlog(백로그)에 일감이 있습니다.
- Scrum 보드 확인
– 현재는 일감이 Backlog에만 있고, 수행중인 sprint에 할당이 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아래와 같이 scrum 보드에 일감이 보이지 않습니다.
3. Sprint 관리
3.1. Sprint 생성
3.2. Sprint Planning
- Backlog에서 일감을 Sprint#1으로 이동
또는 [이슈 생성] 버튼으로 신규 일감 생성 가능
- 다음과 같이 생성된 일감은 Epic(큰틀)에 Drag&Drop으로 할당 가능
3.3. Story Point 입력
- story point 입력 항목이 보이지 않는 경우 추가 방법
– 필드 구성에서 Story point 항목을 선택
– 만약 story point 항목이 없다면 아래와 같이 System Admin이 추가 가능
3.4. 작업자 할당
- 담당자 : 실무자, 일감의 상태 현행화 책임자 등
- 보고자 : 작업지시자, Product Owner 등
3.5. 일감량 확인
- 일감에 업무량(story points)을 입력해 놓으면, 할당 된 담당자별 일감량 확인을 통해 업무 분장 가능
4. 버전/배포 계획
4.1. 버전 등록
4.2. 버전 계획
- 개발이 예정된 버전에 drag & drop으로 mapping 가능
5. Sprint 시작
5.1. [스프린트 시작] 버튼 클릭
5.2. Scrum 보드 확인
- scrum 보드는 수행중인 sprint에 할당된 일감만 보입니다.
- 또한 Scrum board 환경설정에서 Swim Lane(수영레인)에그룹핑해서 보여주기 위한 기준 설정이 가능합니다.
Epic으로 기본 레인을 설정한 경우
Story(이야기)로 기본레인을 설정한 경우
담당자로 기본레인을 설정한 경우
6. Sprint 완료
6.1. 일감 진행 상태 현행화
6.2. Sprint 완료 처리
7. 보고서 및 대시보드 관리
7.1. 보고서
7.2. Dashboard(대시보드) 관리